본문 바로가기

여행정보

지리산 등산로별 입산 통제 시간 정리

반응형

지리산을 등산할 때 아무때나 올라갈 수 없고 입산 가능한 시간이 제한돼 있습니다.

이걸 입산시간지정제라고 하는군요.

 

산에 가고 싶다고 아무 때나 올라갈 수 없다는 말씀.

등산로 시작 지점을 통과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서, 그 시간 이후에는 입산할 수 없는 건데,

최소한 이 시간 전에는 출발해야 어두워지기 전에 대피소에 도착할 수 있다는 걸까요?

 

그리고 너무 일찍(새벽이라기보다는 밤시간에) 출발하는 것도 금지입니다.

 

그러니까 야간산행을 막으려고 그런 것 같은데,

개개인의 등산행위를 너무 제한하는 거 아닌가? 하는 불만은 둘째치고

조금만 올라갔다 내려올 사람은 어찌하나요?

모든 사람이 산행을 길게 하거나 대피소에서 자는 건 아니잖아요.

한두 시간만 구경삼아 올라가볼 수도 있잖아요!!

 

아무튼 등산로마다 입산 시간 제한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등산로 열리는 시간은 여름과 겨울이 다릅니다.

 

여름철(4~10월)에는 새벽 3시부터

겨울철(11~3월)에는 새벽 4시부터

 

등산로별로 통제시간 보겠습니다.

 

출발지점이 전남지역일 때

 

지리산국립공원전남사무소

주소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356 (542-853)

전화 : 061) 780-7700

 

 

맨 위칸의 성삼재는 차로 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점입니다.

자가용도 관광버스도 노선버스도 이곳에 섭니다.

 

성삼재에서 노고단고개까지는 큰길(관리공단 차량이 다니는)이 나있는데, 구불구불한 도로 중간에 보행자를 위한 지름길이 있습니다.

 

노고단고개에서 주능선이 시작되는데,

여름에는 12시, 겨울에는 11시까지 주능선으로 들어서야 하지만

대피소 예약을 한 경우에는 한 시간 연장해 준다네요.

 

굳이 주능선 안 가고 노고단만 가실 분은 시간 여유가 있고요.

 

출발지점이 전북지역일 때

 

지리산국립공원전북사무소

주소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와운길 10 (590-852)

전화 : 063) 630-8900

 

 

맨 아랫줄 요룡대는 뱀사골계곡입니다.

와운마을과 갈라지는 지점의 통제소네요.

연하천 대피소를 예약한 경우라면 2시간 연장해서 여름에는 16시, 겨울에는 15시까지 통과시켜 줍니다.

 

전북지역의 나머지 코스들은 주능선이 아니라 서북능선입니다.

 

 

출발지점이 경남지역일 때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

주소 : 경남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 376 (55234)

전화 : 055) 970-1000

 

 

음, 그런데 청학동이 왜 산청군에 가있을까요?

하동군 청암면에 있는 마을인데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