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방방곡곡

하동 범왕리 푸조나무와 강진 사당리 푸조나무

반응형

푸조나무라는 이름을 들으면 왠지 질긴 잎을 가진 상록수일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푸조라는 발음이 좀 센 느낌이라 그런가?

하지만 푸조나무는 낙엽이 지는 나무입니다.

느릅나무과에 속하고 주로 따뜻한 지방에서 자랍니다. 

 

곰솔이나 팽나무처럼 소금기 있는 바닷바람에 잘 견디기 때문에 방풍림으로 좋다 합니다. 

 

팽나무랑 비슷해서 개팽나무, 개평나무, 검팽나무라고도 불린다네요.

 

느티나무랑 팽나무랑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헷갈리는 나무 명단에 푸조나무까지 합세했습니다.ㅋㅋ

 

얼마전 포스팅했던 의신옛길(서산대사길)이 시작되는 화개면 범왕리에 큰 푸조나무가 있습니다.

 

지리산 의신 옛길(서산대사길) 산책하기

 

지리산을 오르느라고, 의신옛길을 걷느라고 오며가며 지나치기만 하다가

얼마 전에 이 푸조나무를 가까이에서 보고 왔습니다. 

 

쌍계사 앞을 지나 계속 지리산 쪽으로 가면 칠불사 가는 길과 의신마을 가는 길로 나뉘는 삼거리가 나오고,

의신마을 쪽으로 들어서면 곧 커다란 푸조나무가 눈에 뜨입니다.

 

 

 

나무 밑에 웬 신령님 같은 모습이 그려져 있고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언급한 호리병 속 별천지 화개동이라 크게 쓰여 있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여기를 다녀갔다는 말은 들은 적이 없고,

그렇다고 중국에까지 알려질 만큼 화개가 유명했던가? 

 

안내판에는 더 이상 그에 대한 설명이 없고,

그림 옆에 적힌 내용은 통일신라 때의 학자 고운 최치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고운 최치원이 지리산으로 들어가기 전 화개천에서 귀를 씻고 지팡이를 꽂아놓고 가면서 이 지팡이가 살아 있으면 자신도 살아 있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도 지리산 어딘가에 최치원 할아버지가 살아계시려나요?

 

물론 전설은 전설일 뿐, 이 범왕리 푸조나무의 수령은 500년 정도로 추정합니다.

 

그나저나 시진핑 주석 이야기는 뭐야?

시진핑이 말한 거면 우리가 모두 다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더 이상 설명을 생략한 거야?

중국 사람이라도 그 정도로 다 알고 있을 것 같지는 않은데?

 

인터넷을 뒤져봐도 제대로 된 설명을 찾기 어렵고, 몇몇 토막글을 보며 이해한 바로는

시진핑 주석이 2015년 서울에서 열린 중국 방문의 해 개막식에 축하 메시지를 보냈는데

한국 산천의 아름다움을 찬양한 시라며 최치원의 시를 인용했고

그때 인용한 시 내용 중 "동방 나라의 화개동은 호리병 속의 별천지라네."라는 내용이 있는 거였습니다. 

 

하, 정말~~~(한숨 퓨~~~)

시진핑이 친밀감의 표현으로 한국의 옛시를 하나 인용했는데 그 시에 화개 별천지가 나온다고 해서 

마치 시진핑이 호리병 속 화개 별천지를 얘기한 것처럼, 하동군의 화개를 알고 이야기한 것처럼 써놓은 겁니다.

 

하동군에서는 시진핑 주석까지도 화개의 아름다움을 알 정도라고 우기고 싶은 건가?

남의 나라 지도자 말 한 마디라도 어떻게든 가져다 동네 자랑에 쓰고 싶은 건가?

 

심지어 핑계김에 고운 유람길을 조성한다며 예산까지 쓴 모양인데

아우!

난 왜 이런 일이 그렇게 한심스러운지 모르겠습니다. 

 

우리 동네 멋있다고 자랑하고 널리 알리고 많이 찾아오라고 선전하는 건 좋은데......아우 쫌!!

 

 

 

다시 나무 이야기로 돌아가서,

푸조나무가 서있는 곳은 화개초등학교 왕성분교장 앞입니다.

 

 

 

요즘 초등학교 건물은 다 이렇게 무지개색으로 칠해 놓는 것 같습니다.

왜일까요?

또 하나의 천편일률인가?

 

 

 

학교 쪽에서 바라본 푸조나무의 모습

 

 

푸조나무의 특징 중 하나가 우산처럼 옆으로 퍼져서 정자나무로 적합하다는 것인데

범왕리의 푸조나무는 그러기에는 위로 많이 자란 모습입니다. 

 

나무 옆 설명문에는 범왕리 푸조나무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푸조나무로 알려져 있다 하는데

이 설명에 고개를 갸웃거리게 되는 건

강진 사당리의 푸조나무를 본 기억 때문입니다. 

 

사당리 푸조나무는 범왕리 푸조나무와 달리 옆으로 많이 자랐습니다.

범왕리 푸조나무보다 키는 6미터 정도 더 작지만 옆둘레는 한눈에 보기에도 한참 더 큽니다.

이 사진을 찍은 지 10년도 더 지났으니 지금은 더 자랐을려나요?^^

 

 

이 푸조나무가 있는 사당리는 고려청자 도요지로 유명한 곳입니다.

강진 고려청자박물관이 이 나무와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사당리 푸조나무의 나이는 300살 정도로 추정된다 합니다.

 

도공들의 보살핌으로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는데,

이곳은 고려시대에 청자를 굽던 곳인데 300년된 나무가 어떻게 보살핌을 받았을까

고개를 갸웃거리다 보니 이 지역이 또 옹기를 많이 굽던 곳 같기도 하고......

 

 

푸조나무의 잎 모양입니다.

느티나무와 팽나무를 구분할 때 나뭇잎 옆선의 톱니가 절반만 있으면 느티나무이고 다 있으면 팽나무라고 기억하는데

푸조나무는 팽나무처럼 톱니 모양이 옆선 전체에 다 있습니다.

팽나무에 비해 잎이 좀더 두꺼운 느낌이 들긴 하는데, 이건 좀더 잘 비교해 봐야겠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