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에서 쓰이는 약재 중 '부자'라는 게 있습니다. 약초에 대해 조금이라도 안다면 독성이 강하다, 잘못 쓰면 위험하다....이런 생각을 떠올리게 되는 약재입니다. 실제로 부자는 조선시대 죄인을 죽일 때 쓰는 사약 재료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사약에 관한 이야기는 지난 포스팅 참조
그런데 사약의 원료를 부자라고 하는 글도 있고, 초오라고 하는 글도 있어서 무슨 차이지? 싶어서 찾아봅니다.
일단, 미나리아재비목 초오속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라는 건 공통으로 언급되는데, 그 다음이 문제입니다.
대개는 초오 = 부자로 취급하는데
생재와 건재의 차이라는 분도 있고,
뿌리의 어느 부위를 쓰는가에 따라 구분한다는 분도 있습니다.
아예 초오속 식물 중에서도 구체적인 식물 종류에 따라 다르다고 써놓은 포스팅도 본듯......
어이, 헷갈려~~~ 하면서 다시 찾아본 끝에 정리한 내용은 이렇습니다.
미나리아재비목 초오속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를 약재로 쓰는데 독성이 강하다. 물론 병을 고치려고 쓰는 약재이지만 강한 독성 때문에 사약의 재료가 되는 것
초오속 식물에는 ~~바꽃, ~~투구꽃, ~~돌쩌귀, 진범 종류 등이 있다. 그래서 바꽃의 뿌리니 투구꽃의 뿌리니 하고 표현하기도 한다.
초오속 식물인 지리바꽃
초오속 식물인 한라돌쩌귀
초오속 식물인 진범
초오속 식물을 오두라고도 하는데, 한자로 쓰면 烏頭, 까마귀 머리라는 뜻이다. 이 식물의 모습이 까마귀 머리처럼 생겨서 이렇게 부른다. 초오 역시 한자로 草烏, 까마귀처럼 생긴 풀이라는 의미가 된다.
초오는 야생의 것을 말하고, 재배한 오두를 천오라고 한다. 천오川烏 역시 까마귀 烏자가 들어가는 이름이다.
부자는 오두(의 뿌리)에서 뻗어나온 뿌리를 말하는 것으로, 오두에 붙어 있기 때문에 부자附子라고 한다.
(오두는 모근母根, 부자는 자근子根)
사진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그러니까 결국은
초오와 부자는 식물 종류에 따라 달리 부르는 게 아니고, 초오속 식물의 뿌리 중 모근을 초오, 자근을 부자로 구분한다. 모근과 자근의 성분이나 효능에 큰 차이는 없다. 그래서 보통 초오 = 부자로 통하는 것이다.
대충 이렇게 정리가 되는군요.
자료를 찾다 알게 된 또 다른 내용은, 옛문헌에는 초오니 오두니 하는 이름으로 나오고 부자라는 말은 명나라 말, 청나라 초기 쯤 등장한다고 합니다.
또, 오두에 자근이 생기지 않은 것, 즉 부자가 생기지 않은 것을 천웅天雄, 부자 옆쪽에 다시 작은 뿌리가 생긴 것을 측자側子로 분류하기도 한다는군요.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극장과 70mm 영화 (0) | 2024.05.12 |
---|---|
단양팔경에서 8경의 유래 - 소상팔경 (0) | 2021.09.26 |
피나물 매미꽃 애기똥풀 (0) | 2021.09.19 |
제주도 천지연폭포에 대한 옛사람들의 글 (0) | 2021.09.19 |
노트북 터치패드 잠금(비활성화) 2가지 방법 (0) | 2021.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