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정보

남원버스터미널 시간표와 요금 (고속버스, 시내버스) 지방도시들이 대체로 그렇긴 하지만 , 남원은 '시' 단위인데도 터미널이 작고 운행하는 버스도 많지 않습니다. 오래돼서 낡은 건 그렇다 쳐도 말이지요.웬만한 '군'지역 터미널보다 낙후돼있다는 그낌이 많이 듭니다. 그런데 터미널 앞에 '문화'자는 왜 붙인 걸까요?  남원에서 서울 가는 고속버스도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합니다.한동안 고속버스터미널을 따로 운영했었는데 수지타산이 안 맞았는지 결국 폐쇄하고, 기존의 시외버스터미널로 통합했습니다. 남원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울 센트럴시티 가는 버스 시간표입니다.요금은 우등 27,500원 일반 18,700원그런데 일반은 하루 1회밖에 없으니 사실상 27,500원  시외버스는 전주 가는 게 가장 많네요.오수, 임실을 거쳐 가는 것까지 하면 거의 한 시간에 4대 정도?  남.. 더보기
화개장터 주차비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섬진강가의 화개장터는 평범한, 사실은 소멸 직전의 지방 5일장이었는데 가수 조영남의 노래 화개장터가 히트치는 바람에 유명해지더니, 이젠 관광지가 돼버렸습니다.  벚꽃철에야 워낙에 화개벚꽃길이 유명하니까 사람이 몰린다 치지만, 벚꽃철과 상관없이도 관광객이 꽤 많습니다.(이곳이 왜 관광지인지 이해 불가인 1인입니다) 화개장터 바로 옆에 있는 공영주차장은 유료입니다. 그런데 주차비가 별로 비싸진 않네요.  최초 1시간은 무료이고 추가 30분에 500원이니까 2시간 머문다 쳐도 1,000원이면 됩니다. 장터만 구경한다면 1시간이면 충분할 테고, 근처에서 식사까지 한다 쳐도 500원 내지 1,000원선에서 해결되겠군요.  게다가!!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무료입니다.화개장터 방문객이 가.. 더보기
광양 백운산 등산코스별 거리와 시간 우리나라에 족히 100개는 있을 것 같은 이름 백운산. 산에 흰구름이 걸려 백운산이라 했을 텐데, 웬만해서 흰구름 한 번쯤 안 걸쳐본 산이 있을라구요^^ 그 중에서 광양 백운산입니다.  정상 높이는 해발 1,222미터로군요.강옆에 있는 산이니 실제 올려야 하는 고도가 만만치 않은 셈입니다.   백운산 등산코스를 상봉을 중심으로 보자면억불봉 코스도 있고, 도솔봉 코스도 있고, 갈미봉과 쫓비산으로 이어지는 코스도 있습니다. 쫓비산을 지나 계속 가면 망덕포구까지 갑니다.  1코스부터 8코스까지 구분해 놨는데, 모두 마지막 지점이 정상이니까, 달리 말하면 정상까지 가는 8가지 방법이군요.교통 문제만 해결된다면 이코스 저코스 연결해서 출발과 하산을 정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1코스 4.9km (약 2시간 10분).. 더보기
장수 팔공산 등산 안내도 팔공산이라고 하면 갓바위 부처님이 있는 대구 팔공산이 많이 유명한데, 전북 진안과 장수 사이에도 팔공산이 있습니다. 해발 1,151미터호남정맥에 속하는 산입니다.  섬진강 발원지인 데미샘이 이 팔공산에 있습니다. 산행안내도를 보면 일자로 뻗은 산줄기입니다.  자고개--5.62km--(구)대성초교--7.7km--팔공산 정상--2.54km--서구이재--5.8km-와룡 자연휴양림 정맥 종주를 하는 경우라면 모를까, 팔공산만 가볼까 하는 생각으로는 코스가 좀 난감합니다.  쉽게 올라갈 생각으로 고개에서 산행을 시작한다면 왕복 5km쯤 되겠네요. 더보기
지리산 정령치 휴게소 주차비 지리산 서북능선에 있는 정령치해발 1172미터라는데, 꽤 높은 이곳에 휴게소 겸 주차장이 있지요. 바로 능선으로 올라설 수 있어서 만복대나 세걸산 산행을 할 때 이용하게 됩니다.  지리산 주능선이 조망되니까 드라이브 겸 경치구경 겸 들르기도 하지요.    겨울에는 정령치 도로가 통제됩니다. 길이 워낙 구불거리고 가파르니까요.  암튼 정령치에 차를 댄다면 주차요금은 이렇습니다.    재밌는 게, 월 정기주차가 있네요.주변에 사무실이나 상가가 있는 것도 아니고 높은 고개에 딸랑 주차장 하나 있는 곳에 웬 정기주차를? 9시간을 넘어가면 요금이 더 늘어나지 않고 최고요금인 13,000원 혹은 2만원을 내게 됩니다. 그런데 계산이 좀 이상한데요? 요금표대로 계산하면 8시간 주차요금이 13,700원입니다.그럼 10.. 더보기
지리산 등산로별 입산 통제 시간 정리 지리산을 등산할 때 아무때나 올라갈 수 없고 입산 가능한 시간이 제한돼 있습니다. 이걸 입산시간지정제라고 하는군요. 산에 가고 싶다고 아무 때나 올라갈 수 없다는 말씀.등산로 시작 지점을 통과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서, 그 시간 이후에는 입산할 수 없는 건데, 최소한 이 시간 전에는 출발해야 어두워지기 전에 대피소에 도착할 수 있다는 걸까요? 그리고 너무 일찍(새벽이라기보다는 밤시간에) 출발하는 것도 금지입니다. 그러니까 야간산행을 막으려고 그런 것 같은데, 개개인의 등산행위를 너무 제한하는 거 아닌가? 하는 불만은 둘째치고조금만 올라갔다 내려올 사람은 어찌하나요?모든 사람이 산행을 길게 하거나 대피소에서 자는 건 아니잖아요.한두 시간만 구경삼아 올라가볼 수도 있잖아요!! 아무튼 등산로마다 입산 시간 제.. 더보기
광양 버스터미널 버스시간표와 요금 전남 광양시 광양읍에 있는 버스터미널입니다. 광양중심가는 예전부터 있었던 (구시가지라고나 할까) 광양읍과 제철이 들어서면서 새로 개발된 시청쪽이 있는데, 두 곳이 꽤 떨어져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버스터미널도 양쪽에 따로 있습니다. 시청쪽은 중마버스터미널이라고 하네요. 광양터미널은 겉에서 보면 그냥 흔히 보는 상가건물 같습니다.(하긴, 요즘 이런 버스터미널이 많긴 하죠) 이 앞을 많이 지나다녔는데도 버스터미널인 걸 몰랐네요^^ 매표소 옆에 버스시간표와 요금표가 붙어 있는데, 무슨 재질로 만들었는지 반들반들하고 빛이 반사되어 사진 찍기가 어렵네요ㅠㅠ 광양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시간표입니다. 행선지는 제법 많은데 배차는 하루 한두 번인 곳이 많네요. 서울은 동서울과 센트럴시티 두 곳과 연결됩니다. 동광양은 .. 더보기
지리산 중산리에서 진주 부산 가는 버스시간표 지리산에서 중산리로 하산했을 경우 진주(그리고 드물게 부산까지) 가는 버스시간표입니다. 중산리는 지리산 등산로 중에서도 정상인 천왕봉까지 바로 갈 수 있고, 장터목대피소 가는 입구이기도 해서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지리산을 오르기 위해 중산리로 갈 경우 승용차는 탐방로가 시작되는 탐방안내소까지 갈 수 있지만 버스정류장은 2km 정도 아래쪽에 있습니다. 말인즉슨, 버스를 타고 갈 경우 아스팔트 도로를 2km 걸어야 합니다. 왕복은 4km네요. 말인즉슨 2, 중산리로 하산해서 버스를 탈 거라면, 그래서 시간 맞춰 내려가야 할 경우, 이정표에 표시된 거리에 2km를 더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2021년 7월 변경된 시간표입니다. 최종 목적지가 진주가 아닌 서울이라면, 원지에서 내려 서울행 시외버스를 타면 됩니다.. 더보기
새롭게 단장한 화개 버스터미널 버스시간표 화개 공용 버스터미널 리모델링(이라고 해도 되나?)했네요. 터미널이 워낙 아담해서 리모델링이라고 한들 이전과 크게 차이는 안 나는데, 약간의 정비라고 하는 게 맞는 말 같기도 합니다. 터미널 안에 매표소겸 작은 매점이 있었는데, 편의점으로 바뀌었네요. 치킨 사진이 붙어있길래 물어봤더니 후라이드 치킨을 판다는데, 편의점에서 튀김기를 쓰나? 편의점 옆에 취식공간 겸 휴식공간이 꽤 넓게 있습니다. 원래 중국집이 있던 자린데 편의점 부속공간이 됐네요. 휴게공간이 매장보다 커 보이는 게 함정^^ 휴게소 창이 제법 넓고, 건너편이 훤히 보입니다. 화개버스터미널에서 화개천 맞은편으로는 화개장터입니다. 터미널의 메인 공간이라면 매표소일 텐데 어째 옹색하게 빌붙어있는 느낌. 화개터미널 버스시간표입니다. 화개에서 하동, .. 더보기
남원 고속버스 터미널 코로나19 시기 시간표 남원고속 터미널은 2022년 3월까지 영업하고 문을 닫았습니다.고속버스는 남원공용터미널에서 출발합니다. ☞ 남원버스터미널 시간표 보러 가기  남원고속버스터미널은  작습니다.  승강장과 버스들이 대기하는 주차장을 다해도 터가 작네요.  터미널 주변도 그다지 번화가 느낌은 아닙니다. 좀 떨어진 곳에 아파트들이 보이는데, 터미널 바로 앞쪽은 황량.  터미널 바로 뒤에는 새로 지은 빌라가 있던데,그앞 모퉁이에는 오래된 가게들.  어쨌든 남원고속버스터미널 안으로 들어가 봅니다.  역시나 아담한 대합실 1번 홈은 사용하지 않는 듯하고,출발홈이 2곳이고 도착홈 한 곳입니다. 서울 외에 덕과, 오산, 서수원, 인천 가는 버스가 있나 봅니다.  그런데 버스운행시간표를 보니  코로나19 때문에 남원에서 오산, 서수원, 인.. 더보기
남원버스터미널 코로나19 시기 버스시간표 남원공용버스터미널은 구도심에 있는데 꽤 오래된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시 단위 버스터미널 치고는 작다는 느낌입니다. 남원버스터미널 외관이 전에 왔을 때에 비해 약간 달라졌는데, 문화터미널이라는 이름을 붙여 놓았습니다. 대합실 건물 뒤쪽으로 대기중인 버스들 버스가 드나드는 옆쪽길의 출입문 대합실 안에 책을 읽으며 기다릴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핸드폰을 보지ㅋㅋㅋㅋ 예전에 이 자리에 매점이 있었던 기억....(은 언제나 가물가물^^) 무인택배보관함이 있고 약국이 보입니다. 작은 터미널에 웬 약국인가 싶지만, 터미널 건물에 의원이 있기 때문. 남원버스터미널에는 또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오픈형(?) 카페와 편의점이 있습니다. 남원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시간표 군데군데 가려진 시간.. 더보기
하동역 기차시간표와 요금 하동역은 . . . . . 작습니다. 명색이 군청 소재지인지라 간이역까지는 아니지만 아무튼 작습니다. 그런데 작은 역치고는 역사가 큰 것 같기도 합니다.(응?) 하동역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잇는 경전선에 있는 역입니다. 1968년 2월 영업을 시작했는데 그때 역은 하동읍내 끄트머리에 있었습니다. 그러다 2016년 7월 좀더 외곽인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습니다. 하동 버스터미널과 대각선으로 마주보고 있네요. 역사 안으로 들어가면 작은 대합실과 매표창구가 있습니다. 대합실에는 10명이나 앉을 수 있으려나? 그런 규모네요. 사진 찍으러 갔을 때 웬 여성 두 분이 기차를 기다리고 있던 대합실 기차 승강장 가는 길이 익숙합니다. 수도권 역사에서 많이 보던 모습 같네요. 전국 코레일 역사들 공통? 하동역에 서는 기차 .. 더보기
하동 버스 터미널 변경된 시간표와 요금표 코로나 19 때문에 버스터미널 운행시간표가 대부분 조정되었는데 하동 버스 터미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다른 터미널들이 대체로 기존 시간표에서 중간중간 배차를 줄이는 식이라면 하동 버스터미널은 시간표가 아예 달라졌습니다. 시외버스는 편수가 많이 줄었으니 배차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하느라 그러려니 하는데 관내를 다니는 버스는 횟수가 별로 안 줄었는데도 시간표가 꽤 바뀌었네요. 먼저 하동터미널 대합실에 걸린 전체 버스시간표 부산, 진주, 서울 방면 시외버스입니다. 부산은 1일 11회에서 6회로 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진주는 그나마 조금 빠졌고 서울도 뭐 그럭저럭..... 구례, 화엄사 방향이 배차가 확 줄었군요. 쌍계사, 악양 방면은 하동 관내라 그런지 운행 횟수는 그대로이고 중간에 시간표만 살짝 바뀌.. 더보기
화개 버스터미널 코로나 19 임시 버스시간표 버스터미널마다 코로나 19 때문에 버스 운행이 줄어들었습니다. 화개 시외버스터미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화개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버스는 군내버스, 직행버스, 서울행 시외버스가 있습니다. 직행버스는 쌍계사, 진주, 부산, 구례, 화엄사 노선이 있습니다. 먼저 화개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군내버스와 직행버스 시간표입니다. 여느 터미널과 마찬가지로 기존 시간표에서 몇몇 회차를 운행하지 않는 식입니다. 그런데 14시 10분 쌍계사 가는 버스가 애매합니다. 부산, 화엄사, 쌍계사 가는 버스시간표를 따로 붙여 놓았는데, 여기에는 쌍계사행 14시 10분 버스가 취소된 걸로 되어 있습니다. 이건 터미널에 문의해 보는 수밖에요. 화개터미널 번화번호는 055-883-2793 화개터미널에서 서울 남부터미널 가는 버스.. 더보기
순천 종합 버스 터미널 코로나19 임시 버스시간표와 주차장 요금 순천 종합 버스터미널 시간표입니다. 다른 버스터미널도 마찬가지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운행 시간표가 많이 줄었습니다. 순천 터미널 입구입니다. 도시가 좀 큰 경우에는 고속버스 터미널과 시외버스 터미널이 따로 있는데 순천은 종합 버스 터미널로 해서 한곳에서 운행하네요. 던킨 도넛 간판이 더 눈에 뜨입니다^^ 터미널 안에 편의점이 2곳 있고, 토스트 가게도 있습니다. 터미널 안에 있는 물품 보관함 보관함 요금표입니다. 일일 단위 요금인데 24시간 단위가 아니라 밤 12시가 넘으면 하루 요금이 추가되는 식입니다. 터미널 매표소인데 무인으로만 판매하나 봅니다. 도우미분들이 계시던데, 무인 발권기에 계속 사람이 붙어 있을 거면 그냥 창구를 운행하면 되지 않나? 이건 혹시 코로나 때문에 그러나? 버스 시간표 중 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