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이야기

산높이를 표시하는 해발 높이는 어디가 기준일까

반응형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2750미터 백두산이고,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은 해발 1950미터 한라산입니다. 내륙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지리산 천왕봉으로 높이가 1915미터입니다.

산높이는 이렇게 미터로 나타내는데, 그렇다면 이 높이는 어디서부터 잰 걸까요?

 

 

 

 

그 답은 해발海拔이라는 말에 있습니다. 해발고도는 말 그대로 바다로부터 잰 높이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산은 인천 앞바다를 기준으로 하는데, 제주도의 경우에는 제주도 바다를 기준으로 삼는다 합니다. 산높이를 나타낼 때 표고라는 말도 쓰는데, 표고란 특정한 지점의 해발고도를 말합니다. 

 

그런데 바다에는 밀물과 썰물이 있습니다. 시시때때로 변하는 게 바닷물 높이인데 어느 때 높이를 기준으로 삼느냐 하면, 가장 바닷물 높이가 높은 만조 때와 가장 낮은 간조 때의 높이를 재서 그 중간 높이를 기준으로 잡습니다. 

 

 

이렇게 해도 문제가 하나 더 남습니다. 만조와 간조의 중간 높이는 실체로 표현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그 지점에 뭔가 표시를 해놓을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만들어 놓은 게 수준원점입니다. 해발고도 0이 되는 지점에서는 실제로 측정을 할 수 없으니 일정한 지점을 정해 놓고 그 높이를 기준으로 측정을 하는 겁니다. 이 수준원점은 인하대학교 안에 있고 높이는 26.6871미터입니다. 이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전국에 국가수준점을 정해 놓은 뒤 각지의 높이를 측정하게 됩니다.  

 

인하대학교 구내에 있는 수준원점 모습입니다. 이 수준원점이 등록문화재 247호라 문화재청 홈피에 있는 문화재 목록에 간단한 설명과 이미지가 올라와 있네요. 이 사진도 거기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네이버 백과사전의 그림에 해발고도와 수준원점이 잘 표현되어 있네요.

수준원점에서 산꼭대기까지의 높이를 잰 다음 26.6871을 더하면 산의 높이가 되는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