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교실

승정원일기는 누가 썼을까

반응형

우리나라 문화재 중 승정원일기(국보 303호)는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승정원에서 매일 처리한 업무 내용과 사건, 문서 등을 기록해 놓은 일기입니다.

즉 승정원의 업무일지인 셈입니다.

승정원일기는 조선이 건국된 이후 계속 작성되었지만 전기의 것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습니다.

지금 남아 있는 승정원일기는 인조가 임금이 된 1623년부터 마지막 임금인 순종이 물러나는 1910년까지 작성된 것입니다.

​288년 = 10만 5천여 일 동안 작성된 것으로 모두 3,243책입니다.

여기서 '책'이란 옛날 책들을 세는 단위로 지금 단위로 하면 '권'에 해당합니다.​

옛날 책에서도 권이라는 단위를 썼지만, 지금의 권과는 달리 내용상 구별되는 단위였습니다. ​

그래서 1책이 2권이나 3권으로 구성되기도 하는 식이었습니다.

승정원이 하는 일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왕명출납, 그러니까 왕의 비서실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왕이 처리하는 업무는 모두 승정원에서 관리하는데, 각 관청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보고서를 정리해 올리고,

왕이 그 보고서를 보고 내린 답이나 의견을 다시 문서로 만들어 각 관청으로 내려 보냅니다.

천계3년 3, 4, 5월 승정원일기 겉표지와 속지 모습입니다.

천계3년은 간지로는 계해년이고, 서기로는 1623년, 인조가 즉위하던 해입니다.

승정원의 핵심 구성원은 승지들입니다.

승정원에는 6명의 승지들이 있었고 그 중 책임자를 도승지라고 했습니다.

​승지 6명이 모두 당상관이었으니 꽤 직급이 높은 관청인 셈입니다.

그렇다고 승정원에 승지들만 있었을 리는 없고, 주서와 서리들이 업무를 도왔습니다. ​

승정원의 업무일지를 작성한 사람도 승지가 아닌 주서였습니다.

주서注書는 승정원에서 수신하거나 발신하는 문서들을 정리하고,

​왕과 중신들이 국정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해서 그 내용을 기록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조선시대 왕이 신하를 만날 때에는 반드시 승지가 동석했고, 이때 승지가 꼭 데리고 오는 사람이 주서였습니다.

​왕과 신하들이 주고받는 대화를 기록하기 위해서입니다.

임금 곁에서 모든 상황을 기록하는 사람은 사관 아니냐고요?

​맞습니다. 그런데 사관과 함께 승정원의 주서도 왕이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을 일일이 기록했던 겁니다. ​

이런 업무 성격 때문에 주서는 겸사관으로 인정되었습니다.

이렇게 맡은 일이 막중하다 보니 주서는 정7품으로 결코 높은 벼슬이 아님에도 자격 요건이 엄격했습니다. ​

주서는 문과 급제자만 임용되었고, 조상 덕에 벼슬에 오른 음관은 임용될 수 없었습니다. ​

그도 그럴 것이 왕과 대신들의 대화 내용을 기록하려면 말로 하는 내용을 뜻글자인 한문으로 적어야 하는데

​웬만한 글실력으로는 힘들었을 겁니다.

주서는 현장에서 초서로 속기해 놓은 내용을 공식 업무가 끝난 뒤 정리해서 일기를 작성했습니다.

일기를 작성할 때에는 먼저 날짜와 날씨를 쓰고, 승지들과 주서의 이름과 함께 출결 상황을 표시합니다. ​

그리고 왕을 비롯해 대비, 중전, 왕세자 등의 안부를 적은 뒤, 임금의 하루 일과를 장소와 시간대별로 기록하게 됩니다.

그런데 일기에 적을 때 어떤 업무를 어떻게 처리했다 하는 식으로만 적는 게 아니라 ​

​업무 처리에서 오간 온갖 문서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 놓았습니다. ​

지금으로 치면 부서간 오간 서류를 복사해서 함께 철해 놓은 것인데, ​

당시에 복사기가 있었을 리 만무하니 사람 손으로 일일이 베껴서 적어 놓은 겁니다.

내용을 그대로 적어 놓아야 하는 것 중에는 상소문도 있습니다.

승정원에서는 왕에게 올라오는 상소를 있는 그대로 베껴 놓아야 했습니다. ​

문구를 바꾸거나 내용이 길다고 짧게 요약하는 것은 당연히 금지했습니다. ​

간혹 만인소라고 해서 수천 명이 연명으로 상소를 올리는 경우가 있는데, ​

이 경우에는 그 사람들의 이름을 모두 수록해야 함은 물론입니다. ​

그렇다면, 필사 작업만 해도 엄청났을 텐데, 이런 단순작업(?)은 말단 관리인 서리들이 맡았습니다.

이렇게 기록한 일기는 한 달 단위로 정리해서 책으로 엮어 보관했습니다.

​​분량이 많을 경우에는 두 책으로 엮었고, 윤달의 일기는 따로 묶었습니다. ​

그렇게 한권 한권 세월과 함께 쌓인 것이 바로 지금 남아 있는 수천 책의 승정원일기입니다.

승정원일기는 지금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에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