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방방곡곡

제주도옹기장 - 제주옹기 제작 과정 보기

반응형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제주도옹기장 동영상입니다.

불때는 모습이 아주 장관이네요^^

글쓰기에서 플러그인 You Tube 링크 넣기 테스트 겸 올려봅니다.

티스토리에서 유투브 동영상 보여 줄 때는 소스 복사 어쩌고 그런 게 없으니 간편하네요^^

 

 

제주도 옹기장에 대한 설명글은 '디지털 서귀포 문화대전'에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읽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 제주도 옹기장 설명 보러 가기

 

친환경이니 웰빙이니 하는 바람을 타고 옹기를 찾는 분들이 많아졌나 봅니다.

숨쉬는 그릇이라는 표현 때문에라도 뭔가 긍정적인 기분을 느끼게 합니다만

한편으로는 이 한 마디로 옹기의 정체성을 평정해 버린 듯한 느낌이라 그건 조금......^^

 

게다가 '옹기'라는 용어 자체도 현대에 와서 불리기 시작한 걸로 아는데요

엣사람들은 토기니 질그릇이니 그런 표현을 쓰셨던 듯하고

지금도 나이 많은 분들 중에는 이리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충청도의 갈산토기라는 이름에도 그 흔적이 보이고요.

 

물론 용어와 상관없이 옹기가 우리나라의 독특한 그릇인 건 사실인 것 같네요. 

도자기 다큐를 보니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도자기에 비해 옹기류를 거의 안 만드는 것 같더군요.

 

무튼,  통칭 옹기라고 하는 우리나라 흙그릇은 지역마다 다 있는데

그릇을 빚는 방법이 크게 두 가지입니다.

흙을 가래떡처럼 길게 만들어서 한 단씩 쌓아가며 그릇 벽을 만드는 방식

흙을 넓적하게 판으로 만들어서 그릇 벽을 만드는 방식

 

제가 알기로는 전라도와 제주도에서는 흙판을 만들어 그릇벽을 세우고

다른 지역에서는 한 단씩 쌓는 방식입니다.

옹기 엑스포가 열리는 울산 외고산 옹기도 흙타래를 쌓아올리는 식이고요.

 

그릇 모양을 만든 뒤에는 잘 말린 뒤 가마(굴)에서 굽는데

제주 옹기는 가마를 특이하게 돌로 만듭니다.

돌도 뜨거운 불을 오래 맞으면 터질 텐데

제주도 현무암은 화산이 터질 때 한 번 구워져서 그런가^^ 가마를 만들 때 쓴다네요.

 

그리고 가마 안에 그릇을 쌓을 때 제주옹기는 항아리들 사이에 소라껍데기를 끼워 놓았습니다.

그릇들을 지지해 주고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하는 역할인데 제주도답다고 해야 할까요?

(이 이미지는 '디지털 서귀포 문화대전'에서 가져왔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옹기를 구울 때 이렇게 항아리들 사이에 뭔가 끼워 넣는지는 모르겠네요.

평소 다큐 같은 걸 볼 때는 별 다른 걸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동영상 링크 건다면서 말이 길어졋네요.

그릇 빚는 일부터 굽는 과정까지 있으니 4분만 시간을 내서 한번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반응형